본문으로 바로가기

오행의 상생(相生) 상극(相剋)과 희기(喜忌) 작용



[오행의 상생 작용]
  목생화 => 나무는 자신의 힘을 소진하며 불을 살려냅니다.
  화생토 => 불은 자신의 희생으로 생긴 재로 따을 비옥하게 합니다.
  토생금 => 땅에서 쇠가 생산 됩니다.
  금생수 => 결실(열매)에서 물(생명)이 생산 됩니다.
  수생목 => 물이 나무를 키웁니다.

[오행의 상극 작용]
  목극토 => 나무는 땅의 에너지를 빼앗아 황폐하게 만듭니다. 
  토극수 => 흙은 물의 갈길을 가로 막기도 합니다.
  수극화 => 물은 불을 꺼는 작용을 합니다.
  화극금 => 불은 쇠를 녹여 없애거나 나른 형태로 바꾸기도 합니다.
  금극목 => 쇠는 도끼나 톱이 되어 나무를 다듬거나 자르기도 합니다.
  목극토 => 다시 위의 처음의 순환되는 고리가 됩니다.


[오행의 희기작용]
  여기서 희기란 반가워 하거나 꺼리는 오행의 기운을 말합니다.
  과유불급이란 말이 있습니다.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는 말로 오행에서도도 같은 이치가 됩니다.
  상생의 기운이 지나치거나 상극의 작용이 지나쳐 어느한 오행이 힘을 잃으면 해가 된다는 것입니다.


[오행 희기에 관련된 용어들]

[1]
木賴水生 水多木浮 : 목뢰수생 수다목부
나무는 물의 도움을 받는 좋아하지만, 물이 너무 많으면 나무는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물에 뜨게 됩니다.

火賴木生 木多火熄 : 화뢰목생 목다화식
불은 나무의 도움을 좋아하지만, 나무가 너무많으면 불은 오히려 꺼지게 됩니다.

土賴火生 火多土焦 :  토뢰화생 화다토초 
땅은 불의 도움을 좋아하지만 불기가 너무 강하면 땅이 말라 갈라지게 됩니다.

金賴土生 土多金埋 : 금뢰토생 토다금매 
쇠는 흙의 도움을 좋아 하지만, 흙이 너무 많으면 쇠는 매몰되어 찾을 수도 없게 됩니다.

水賴金生 金多水濁 : 수뢰금생 금다수탁
물은 쇠의 도움을 좋아 하지만 쇠가 너무 많으면 물은 탁해지게 됩니다.

아무리 좋은 것도 너무 많으면 해가 됩니다.
우리가 밥을 먹고 살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체하거나 죽을 수도 있게 되는 것과 같다고 보는 것입니다.

[2]
木能生火 火多木焚 : 목능생화 화다목분 
나무는 불을 도우지만, 불이 너무 강하면 나무는 불타 없어지게 됩니다.

火能生土 土多火晦 : 화능생토 토다화회
불은 땅이 비옥하게 되도록 도움을 주지만, 흙이 너무 많으면 불이 기운을 잃게 됩니다.

土能生金 金多土弱 : 토능생금 금다토약
땅은 쇠가 생산되도록 돕는 역할을 하지만, 쇠가 너무 많으면 땅은 힘을 잃게 됩니다.

金能生水 水多金沈 : 금능생수 수다금침
쇠는 물에게 도움을 주지만 물이 너무 많으면 쇠는 물에 잠겨 가라앉게 됩니다.

水能生木 木多水縮 : 수능생목 목다수축 
물은 나무에게 도움을 주지만, 나무가 너무 많으면 물은 힘이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도움을 주는 사람이 도움을 받는 사람보다 약하면 도움을 주기 보다는 자신이 먼저 쓰러지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3]
木能剋土 土重木折 : 목능극토 토중목절 
나무는 땅을 다스리는 역할을 하지만, 흙이 너무 강하면 나무는 부러지게 됩니다.

土能剋水 水多土流 : 토능극수 수다토류 
흙은 물을 통제하지만, 물이 너무 많으면 흙이 떠내려 가게 됩니다.

水能剋火 火炎水灼 : 수능극화 화염수작
물은 불을 통제하지만, 불이 너무 강하면 물은 말라 버립니다.

火能剋金 金多火熄 : 화능극금 금다화식
불은 쇠를 다스리지만, 쇠가 너무 많으면 불이 꺼지게 됩니다.

金能剋木 木堅金缺 : 금능극목 목견금결 
쇠는 나무를 자르거나 통제하지만, 나무가 너무 강하면 쇠가 부서지게 됩니다.

자신의 힘이 약하면서 상대를 통제하려 하면 통제는 커녕 자신의 안위도 보장되지 못합니다.

[4]
木弱逢金 必爲斫折 : 목약봉금 필위작절
약한 나무가 쇠를 만나면, 반드시 베여 꺽이게 됩니다.

火弱逢水 必爲熄滅 : 화약봉수 필위식멸
약한 불이 물을 만나면 반드시 꺼져 없어지게 됩니다.

土衰逢木 必遭傾陷 : 토쇠봉목 필조경함
약한 흙이 나무를 만나면  필히 기울고 허물어지게 됩니다.

金衰遇火 必見銷鎔 : 금쇠우화 필견소용
약한 쇠가 불릉 만나면 반드시 녹아 내리게 됩니다.

水弱逢土 必爲淤塞 : 수약봉토 필위어색
약한 물이 흙을 만나면 흙에 스며들어 사라지게 됩니다.

특정한 오행이 너무 부족하거나 고립되면 그에 따른 부작이 있게 됩니다.

[5]
强木得火 方洩其英 : 강목득화 방설기영
강한 나무가 불기운을 얻으면 지나친 힘이 균형을 이루어 빼어남을 들어냅니다.

强火得土 方斂其焰 강화득토 방렴기염 
강한 불이 흙을 만나면 지나침이 줄어들어 강한 불기운이 줄어들게 됩니다.

强土得金 方化其頑 : 강토득금 방화기완
강한 흙이 쇠를 얻으면 고집스러운 흙의 기운이 줄어들게 됩니다.

强金得水 方挫其鋒 : 강금득수 방좌기봉
강한 쇠가 물을 얻으면 날카롭고 사나움이 줄어들게 됩니다.

强水得木 方緩其勢 : 강수득목 방완기세
강한 물이 나무를 얻으면 그 강한 물기운이 부더럽게 됩니다.

지나친 기운은 그 기운을 활용할 다른 방안이 있다면, 지나친 기운도 완화되어 좋은 작용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