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변방법(4) - 오행의 조화와 충극으로 보는 건강운
[용신과 오행의 조화]
용신은 명주의 명예와 재물운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오행의 조화와 충극은 명주의 건강과 수명을 좌우합니다.
따라서 용신운이면 재물운을 좋으나 건강에 이상이 올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일주와 충극이 되는 운에는 건강에 문제가 생기드라도, 재물운은 용희신운에 의하게 됩니다.
[예시명조]
을계을갑
묘사해오
위 명조는 해월에 태어난 계수일간으로 식상생재격 사주가 됩니다.
갑부는 아니어도 남부럽지 않은 재물로, 부유한 생활을 할 수 있는 명조가 됩니다.
그러나, 오행은 여러가지로 편중됩니다.
1,목오행 과다
![](http://img2.sajuplus.net/saju/1539132582.222.png)
목오행이 과다하여 강경변, 담석증,지방간 등 질병, 머리가 자주 아프게 됩니다.
오행의 과다와 과소 등을 표시한 부분의 목(木)을 클릭하시면, 개략적인 설명이 나옵니다.
2.토오행 과소
토오행이 없으면 비장염, 위장염,복붑질환, 피부염, 당뇨병 등에 취약하게 됩니다.
3.금오행 과소
![](http://img2.sajuplus.net/saju/1539132582.223.png)
호흡기질환, 근골질환, 뼈관련 질환 등이 잦을 수 있습니다.
환절기에 감기에 취약하고, 나이가 들어서는 디스크나 관절염 등도 주의해야 합니다.
오행의 과다와 과소 등을 표시한 부분의 금(金)을 클릭하시면 개략적인 설명이 나옵니다.
[목오행]
-목오행이 너무 강하면
.강경변, 담석증,지방간 등 질병, 머리가 자주 아프게 됩니다.
-목오행이 너무 약하면
.간장질환, 담낭, 근육이상, 두통,무서움을 잘타고 밤길을 힘들어 합니다.
[화오행]
-화오행이 너무 강하면
.고혈압, 심장마비, 정신이상, 혈관계 이상이 오기 쉽습니다.
-화오행이 너무 약하면
.심장병, 소장질환,눈병, 혈액성질환, 편두통
[토오행]
-토오행이 너무 강하면
.위장질환, 당뇨병, 피부염, 배가 자주 아플 수 있습니다.
-토오행이 너무 약하면
.비장염, 위장염,복붑질환, 피부염, 당뇨병에 약합니다.
[금오행]
-금오행이 너무 강하면
.페장염, 대장염, 피부염, 기관지 질환을 유발합니다.
-금오행이 너무 약하면
.호흡기질환, 근골질환, 뼈관련 질환에 약합니다.
[수오행]
-수오행이 너무 강하면
.신장염, 생식기 질환, 자궁질환, 방광염, 빈기 질환 등이 생기기 쉽니다.
-수오행이 너무 약하면
.신장염, 방광염, 혈액이상, 신장결석
[오행의 상충]
-자오충
.신경계질환, 만성 대장염, 협심증, 말초신경염, 치질, 정신신경계
-축미충
.당뇨병, 아토피염, 췌장염, 위궤양, 습진, 치질, 위장염, 소화기 계통
-인신충
.요통, 척추, 뼈관련 질환, 간, 대장염, 신경통
-묘유충
.종기, 염즘, 혈액순환, 순환기 질환, 간질환, 폐질환, 신경통, 수족을 상하는 일도 많습니다.
-진술충
.당뇨병, 아토피, 만성 위장염, 만성 대장염, 피부질환
-사해충
.뇌출혈, 고혈압, 중풍, 심장질환, 비뇨기질환, 심장, 당뇨 등
-천간충은 지지충에 비해 영향력이 가볍다고 봅니다.
천간충 정신적으로 스트래스나 갈등 드이 많이 나타납니다.
[결론적으로]
사주원국에는 물론 대세운에서도 재물이나 명예운과 건강운은 다른 관점에서 보아야 합니다.
용희신운에서는 건강과 재물운이 좋아집니다.
그러나, 충극이 있다면 건강과 수명은 재물운과 별도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신강사주에서는 겁재운도 충극과 같이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어렵게 재산을 모아 이제 좀 살만한 시기가 되었나 싶었더니,
암이나 당뇨 등 어려운 병으로 시달리는 경우가 바로 식상생재격 사주이기 쉽습니다.
'사주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운성해석(2) - 12운성의 기본 성향과 궁위에 따른 12운성풀이 (0) | 2018.10.12 |
---|---|
12운성해석(1) - 12운성의 기본 성향과 궁위에 따른 12운성풀이 (0) | 2018.10.12 |
통변방법(3) - 만세력을 이용해 직업, 재물운 통변하는 법 (0) | 2018.10.08 |
통변방법(2) - 만세력을 이용해 육친덕 통변하는 법 (0) | 2018.10.06 |
사주와 생활 - 만세력으로 보는 사주팔자, 사주의 올바른 활용 (0) | 2018.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