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이혼 통계 : 이혼 건수 및 조(粗)이혼율 - 통계청자료
1.이혼 건수 및 조(粗)이혼율
2014년 이혼은 11만 5천 5백 건으로 전년보다 2백 건, 0.2% 증가
○ 2014년 이혼은 11만 5천 5백 건으로 전년보다 2백 건, 0.2% 증가함.
○ 조이혼율(인구 1천 명당 이혼 건수)은 2.3건, 유배우 이혼율(유배우 인구 1천 명당 이혼 건수)은 4.7건으로 전년과 유사함.
2. 이혼연령
평균이혼연령은 남자 46.5세, 여자 42.8세로 상승세 유지
○ 남자 평균 이혼연령은 46.5세로 전년에 비해 0.3세 상승함.
- 10년 전에 비해서는 4.9세 상승함.
○ 여자 평균 이혼연령은 42.8세로 전년에 비해 0.4세 상승함.
- 10년 전에 비해서는 4.7세 상승함.
[표 14] 평균 이혼연령 | |||||||||||||
(단위 : 세) | |||||||||||||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증감* | |
전년 대비 | 10년전 대비 | ||||||||||||
남자 | 41.7 | 42.1 | 42.6 | 43.2 | 44.3 | 44.5 | 45.0 | 45.4 | 45.9 | 46.2 | 46.5 | 0.3 | 4.9 |
여자 | 38.2 | 38.6 | 39.0 | 39.5 | 40.5 | 40.7 | 41.1 | 41.5 | 42.0 | 42.4 | 42.8 | 0.4 | 4.7 |
3. 성․연령별 이혼
가. 남자
남자 연령별 이혼 구성비는 40대 초․후반이 각각 18.8%로 가장 높음
○ 연령별 이혼 구성비는 40대 초반(18.8%), 40대 후반(18.8%), 50대 초반(15.6%) 순
- 전년대비 이혼 건수는 50대 후반(7.0%)과 60세 이상(7.3%)에서 크게 증가함.
○ 15세 이상의 일반이혼율*은 5.4건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임.
* 15세 이상 남자인구 1천 명당 이혼 건수
- 연령별 이혼율**은 40대 후반이 9.9건으로 가장 높으며 전년과 유사한 수준, 40대 초반은 두 번째로 높은 9.5건으로 전년대비 0.1건 감소함.
나. 여자
여자 연령별 이혼 구성비는 40대 초반(19.6%), 40대 후반(16.7%) 순으로 높음
○ 연령별 이혼 구성비는 40대 초반(19.6%), 40대 후반(16.7%), 30대 후반(15.9%) 순
- 전년대비 이혼 건수는 50대 후반(12.7%)과 60세 이상(11.0%)에서 크게 증가함.
○ 15세 이상의 일반이혼율*은 5.3건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임.
* 15세 이상 여자인구 1천 명당 이혼 건수
- 연령별 이혼율**은 40대 초반이 10.2건으로 가장 높으며 전년과 유사한 수준, 30대 후반은 두 번째로 높은 9.7건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임.
4. 혼인지속기간* 및 미성년자녀 유무
혼인지속기간 20년 이상 이혼은 28.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법적인 결혼(혼인)여부와 관계없이 실제 결혼생활 시작에서 사실상 이혼(별거)까지의 동거기간
○ 이혼 부부의 평균혼인지속기간은 14.3년으로 전년 대비 0.2년, 10년 전 대비 2.3년 길어져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혼인지속기간 20년 이상 이혼은 28.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2011년까지 4년 이하 이혼이 가장 큰 비중이었으나, 2012년부터 20년 이상 이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혼인지속기간 30년 이상 이혼도 10년 전에 비해 2.3배이며, 전년대비 10.1%로 가장 크게 증가함.
○ 미성년 자녀가 없는 이혼 부부의 구성비는 50.3%로 절반을 넘어섬.
○ 미성년 자녀가 있는 이혼 부부의 구성비는 전체 이혼의 49.5%이며, 지속적인 감소 추세임.
- 미성년 자녀가 1명인 이혼 부부의 구성비는 25.9%, 2명은 20.2%, 3명 이상은 3.3%를 차지함.
5. 종류(협의․재판)별 이혼
협의이혼은 전년대비 1.3% 증가, 재판이혼은 전년대비 3.3% 감소
○ 협의이혼은 8만 9천 7백 건으로 전년대비 1.3% 증가하고, 재판이혼은 2만 5천 8백 건으로 전년대비 3.3% 감소함.
- 재판이혼 비율은 22.3%로 2010년 이후 감소 추세임.
7. 외국인과의 이혼
가. 이혼 건수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이혼은 9천 8백 건으로 전년대비 6.9% 감소
○ 외국인과의 이혼은 9천 8백 건으로 전년대비 7백 건, 6.9% 감소하여 2008년(1만 1천 건)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임.
-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이혼은 7천 건으로 전년대비 7.8% 감소함.
-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이혼은 2천 8백 건으로 전년대비 4.7% 감소함.
○ 전체 이혼 중 외국인과의 이혼 구성비는 8.4%로 전년보다 0.6%p 감소함.
- 외국인과의 이혼 중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이혼 비율은 71.7%,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이혼 비율은 28.3%를 차지함.
나. 외국인의 국적
외국 여자의 국적은 중국(48.6%), 베트남(26.0%), 필리핀(6.4%) 순
외국 남자의 국적은 일본(40.2%), 중국(37.2%), 미국(9.1%) 순
○ 한국 남자와 이혼한 외국 여자의 국적 구성비는 중국(48.6%), 베트남(26.0%), 필리핀(6.4%) 순
- 전년대비 베트남(11.5%), 중국(10.4%), 몽골(4.0%) 국적 여자와의 이혼은 감소함.
○ 한국 여자와 이혼한 외국 남자의 국적 구성비는 일본(40.2%), 중국(37.2%), 미국(9.1%) 순
- 전년대비 일본(7.4%), 중국(5.1%), 파키스탄(1.8%) 국적 남자와의 이혼은 감소함.
ㅇ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이혼 구성비는 경기(23.4%), 서울(19.1%), 경남(6.3%) 순
- 전년대비 세종(37.5%), 강원(6.6%), 전남(5.1%) 등 5개 시도는 증가하고, 광주(16.7%), 경북(16.3%), 부산(14.5%) 등 12개 시도는 감소함.
ㅇ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이혼 구성비는 서울(27.4%), 경기(23.9%), 부산(5.4%) 순
- 전년대비 울산(41.7%), 경북(19.2%), 충북(14.6%) 등 6개 시도는 증가, 대구(27.6%), 광주(22.0%), 강원(20.5%) 등 10개 시도는 감소하고, 세종은 유사함.
8. 월별 이혼
2014년 신고 월별 이혼 건수는 7월, 10월, 12월 순으로 높음
○ 월별 이혼은 7월(1만 3백 건), 10월(1만 건), 12월(9천 9백 건) 순이며, 1월(9천 1백 건)이 가장 적음.
- 2월, 3월, 4월, 6월, 9월은 전년동월대비 증가하고 나머지 월은 감소함.
○ 2004~2014년 월별 평균 이혼은 3월, 6월, 7월 순이며, 9월이 가장 적음.
본 자료는 2014년 통계청 자료를 발췌 편집한 것입니다
'궁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형궁합 - AB형 남자 : AB형 여자, AB형 여자 : AB형 남자 (0) | 2017.04.23 |
---|---|
혈액형궁합 - B형 남자 : O형 여자, O형 여자 : B형 남자 (0) | 2017.04.22 |
2014년 혼인 통계 : 평균 초혼 및 재혼 연령- 통계청자료 (0) | 2017.04.19 |
2014년 혼인․이혼 통계 - 통계청자료 (0) | 2017.04.19 |
혈액형궁합 - B형 남자 : AB형 여자, AB형 여자 : B형 남자 (0) | 2017.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