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식-편인도식
도식-편인도식 ❚도식(倒食)이란? 도倒 : 넘어질도, 넘어지다, 반대로 되다, 뒤집다, 실패하다, 망하다 등으로 풀이되고, 식食 : 밥식, 먹을 식으로 밥이나 음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도식은 밥그릇을 엎는다는 의미로도 쓰이며, 원국의 식신이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식신은 편인의 극으로 인해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편인도식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도식작용의 조건 .신강사주 일간에게 유용하게 쓰여야 할 식신이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는 경우이므로 일간이 신강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신약한 사주에서는 식신이 기신에 속하므로 기신을 제압한 경우는 도식작용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식신이 희신 신약한 사주에서 식신은 기신, 인성은 희신에 해당합니다. 기신을 제압하는 편인의 작용을 도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