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용신(3)-격국의 십성에 따른 예시(식신격, 상관격, 편재격, 정재격, 편관격)
격국용신(3)-격국의 십성에 따른 예시(식신격, 상관격, 편재격, 정재격, 편관격) 1.식신격 월지 지장간의 정기가 월간에 투출하면 바로 격으로 봅니다. 위 명조의 경우 월지 인목의 지장간 중의 정기(본기)인 갑목이 월간에 투출한 경우라, 다른 경우의 수는 생각할 필요가없이 바로 식신격으로 판단합니다. 참고로, 위 명조에서 월지 인목의 지장간은 무토, 병화 갑목이 있습니다. 그 중에 여기인 무토는 지난달의 남은 기운을 말하며, 본기인 갑목은 인월 자체의 중심기운입니다. 여기와 본기 사에에 있는 병화는 중기로, 여기와 본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면서 다음 계절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식신격은 직업선택에 비교적 제한이 적지만, 순발력과 결단력을 필요로 하거나 유행에 민감한 업종은 다소 무리가 따릅니다. 정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