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운세력 - 사주플러스의 만세력, 운세력의 새로운 설정 안내
[원국해석]
사주풀이의 어려움 중의 하나가 합화와 고립일 수 있습니다.
합화로 오행이 바뀌고 특정 오행이 고립이 되어도 실감이 되지 않습니다.
사주플러스의 플러스만세력과 플러스운세력에서는 좀 더 실감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물론, 기존의 설정과 새로운 설정을 바꾸어 가면서 보시면, 좀 더 실감이 날 것으로 봅니다.
처음 사주를 접하시는 분들에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실 것으로 봅니다.
특히, 합화가 많은 분들에겐 통변을 좀 더 수월하게 하실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예시명조]
.위 명조는 오월에 태어난 갑목일간의 [종아격] 사주명조입니다.
.원국을 간단히 살펴보면 목화토금수 오행이 골고루 잘 분포된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바로 아래에 있는 음양오행의 그래프로 보면, 화오행으로 편중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에는 하단 부분의 황색 타원형으로 길게 표시된 부분을 보시기 바랍니다.
.종아격으로 용희신이 목수로, 그리고 그 다음에 (억부) 라는 글자가 있습니다.
.이 경우 격국은 종아격이지만, 용희신을 억부로 찾은 것이라는 표시입니다.
.용희신이 (목수)로 괄호안에 표시된 것은, 용희신이 원국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표시입니다.
.물론 이 사주를 종아격으로 용희신을 찾으면, 용희신은 화,목이 될 것입니다.
.종아격으로 용희신을 확인하시려면
위 그림과 같이 명주의 정보를 입력하실 때, [외격적용]에 체크를 하시고 보시면 됩니다.
.종아격은 사주전체가 식상으로 이루어진 명조를 말합니다.
어떻게 오행이 골고루 분포된 사주가 식상인 화오행으로 편중된 것일까요.
한눈에 이해가 되지 않는 분들에게 아래의 설정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설정변경]
.위 그림처럼 [합화오행으로 색상 바꾸기]에 체크를 하고 [보기설정]을 선택하면 됩니다.
[합화 색상의 예시명조]
.똑같은 명조가 바탕색만 바꾸어도 완전히 다른 사주로 느껴집니다.
.연간의 계수와 월간의 무토는 무계합화, 화오행으로 바뀐 경우가 됩니다.
.일지술토와 시지인목은 월지 오화와 더불어 [인오술 삼합]으로, 모두 화오행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보면 년지 정관이 위태롭게 보이지 않습니까?
.이런경우 년지 유금은 정관이 아니라, 녹아 제거된 상태로 보는 것이 옳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종아격은 부부사이가 원만치 못하다고도 합니다.
여기서는 원국의 해석을 하기 위한 포스팅이 아니라.
통변을 위한 도구로 새로운 설정방법을 안내해 드린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주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론(2) - 음양오행과 인체의 오장과 상관관계 (0) | 2019.04.22 |
---|---|
질병론(1) - 사주의 음양오행에 따른 체질과 건강 (0) | 2019.04.21 |
직업론(7) - 용신의 십성에 따른 직업(편관과 정관) (8) | 2019.04.16 |
직업론(6) - 용신의 십성에 따른 직업(편재와 정재) (0) | 2019.04.16 |
직업론(5) - 용신의 십성에 따른 직업(식신과 상관) (0) | 2019.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