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획 작명법 (曲劃 作名法) 1
곡획 작명법 (曲劃 作名法)이란?
- 성과 이름의 한자를 필획수와 곡획수를 더한 값에 태어난 해의 천간 지지에 의한 선천 생수를 합해 나오는 숫자로 성명의 길흉을 판단 합니다.
한자의 획수를 계산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필획수
- 사전상 획수로 실제 글씨를 쓸 때 붓을 한번 들어 긋는 획수가 됩니다.
- 우리가 옥편을 찾아 볼 떄 나오는 획수가 필획이 됩니다.
원획수
- 부수를 옥편에서 나오는 원래 글자의 부수로 획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 한자의 고유 의미가 포함된 원 상태의 획수로 일반적인 작명을 할 때는 원획을 획수로 사용합니다.
- 지금 통상 작명의 경우는 원획법을 기준으로 작명합니다.
- 원획법은 원형이정에 의한 수리이론으로 작명을 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 원획법은 역리자획법(易理字劃法)이라고도 불립니다.
곡획수
- 한자의 의미나 붓의 놀림과는 상관없이 글자체의 방향이 바뀔 때 마다 한 획으로 간주합니다.
- 곡획법은 88괘상론을 적용하여 작명할 때 사용합니다.
- 곡획괘상은 60괘상부터 147
괘상까지 88개의 괘상이 있습니다.
원획과 필획 곡획의 예시
- 扌(손수변)일 경우
- 필획은 3획
- 원획은 원래 문자가 手 이므로 4획
- 곡획은 필획의 3획에서 아래 부분의 삐침이 있어 4획이 됩니다.
- 乙(새을)인 경우
- 필획은 1획
- 원획도 1획
- 곡획은 가로 -> 사선 -> 가로 -> 삐침이 있어 4획이 됩니다.
선천 생수란?
태어난 해의 간지에 깃든 고유한 숫자를 의미합니다.
연주(年柱)에 따른 선천생수(先天生數) 一旬 二旬 三旬 四旬 五旬 六旬 甲子
42甲戌
48甲申
37甲午
34甲辰
56甲寅
38乙丑
40乙亥
42乙酉
33乙未
46乙巳
52乙卯
40丙寅
46丙子
44丙戌
36丙申
44丙午
38丙辰
32丁卯
32丁丑
38丁亥
46丁酉
42丁未
46丁巳
41戊辰
34戊寅
36戊子
48戊戌
55戊申
44戊午
30己巳
37己卯
34己丑
55己亥
30己酉
41己未
32庚午
48庚辰
43庚寅
57庚子
44庚戌
32庚申
46辛未
43辛巳
41辛卯
59辛丑
38辛亥
30辛酉
35壬申
51壬午
30壬辰
52壬寅
41壬子
59壬戌
37癸酉
53癸未
35癸巳
32癸卯
35癸丑
44癸亥
40
'작명.감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획 작명법 (曲劃 作名法) 3 - 88 괘상(卦象) 길흉 해설(1) (1) | 2016.08.27 |
---|---|
곡획 작명법 (曲劃 作名法) 2 (3) | 2016.08.24 |
분파 - 성명에서 횡파와 종파 (0) | 2016.08.11 |
불용문자(不用文字)의 의미와 예시 (0) | 2016.04.29 |
음양 오행설로 인해 금씨가 김씨로 불리게 된 기막힌 사연 (0) | 201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