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의 오행과 생극제화
[오행이란?]
동양 사상에서 우주의 모든 힘은 다섯 가지 기운에 의해 지배된다고 봅니다.이 다섯 가지 기운이 즉 오행의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로 이를 오행이라 합니다.오행 상호 간에는 서로가 도움을 주기거나 받으며 상생작용을 합니다.반대로 서로 간에 상대의 힘을 빼앗거나 소진 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이를 상극이라 합니다.
[오행의 상생 관계]
상생관계는 서로가 도와주고 살려준다 또는 돕는다, 낳는다는 의미가 내포됩니다.위의 그림에서 외곽 부분 화살표가 상생 관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木은 火를 生하고, 火는 土를 生하며, 土는 金을 生하고 金은 水를 생하며 水 는 다시 木을 生하는 원리로 순환합니다.
- 목생화 : 나무는 자신을 희생해 가면서 불을 살립니다.
- 화생토 : 불은 타고나면 재가 남고 그 재는 거름이 되어 땅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 토생금 : 흙 속에 여러가지 광물의 자워이 있으므로 땅이 있어야 쇠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금생수 : 쇠가 녹아 물이 됩니다. 가을의 열매도 금에 해당하는데 열매 속에는 물기를 가지게 됩니다.
- 수생목 : 물이 있어야 나무가 자랄 수 있습니다.
[오행의 상극 관계]
상극 관계는 상대의 힘을 소진시키거나 약하게 하는 기운을 극이라 합니다.오행은 상극 관계에서 많은 힘을 소진시키게 됩니다. 극을 하는 쪽 보다는 극을 받는 쪽이 더 많은 힘을 잃게 됩니다.위 그림에서 안쪽에 보이는 화살표 부분이 상극 관계입니다.木은 土를 剋하고, 土는 水를 剋하며, 水는 火를 剋하고 火는 金를 剋하며 金는 다시 木를 剋하는 원리로 순환합니다.
- 목극토 : 목은 뿌리를 흙에 박고 자라나며 흙의 영양분을 빼앗아 살아갑니다.
- 토극수 : 흙은 물의 흐름을 막는 제방의 역할을 합니다.
- 수극화 : 물은 불을 꺼트려 불의 생명을 빼앗는 역할을 합니다.
- 화극금 : 불은 쇠를 녹여 모양을 변형시킵니다.
- 금극목 : 쇠는 톱이나 도끼가 되어 나무를 자르거나 다듬는 역할을 합니다.
[오행의 상호 간의 관계]
[목]
- 성질 : 목은 청색으로 동쪽과 봄을 의미하며 시작이나 성장을 나타냅니다.
- 과소 : 나무가 없으면 불이 살아나지 못합니다.
- 과다 : 나무가 너무 많으면 불이 오히려 힘을 잃어 꺼지게 됩니다.
- 목다화식(木多火熄) : 나무가 너무 많으면 불이 꺼지게 됩니다.
- 목다금결(木多金缺) : 나무가 너무 많으면 도끼가 문드러집니다.
[화]
- 성질 : 화는 붉은 색으로 남쪽과 여름을 의미하며, 활기와 정열을 나타냅니다.
- 과소 : 불이 없으면 땅이 황폐해지게 됩니다.
- 과다 : 불이 너무 강하면 땅이 매말라 갈라지게 됩니다.
- 화다토척(火多土斥) : 불이 너무 많으면 땅이 갈라집니다.
- 화다수증(火多水烝) : 불이 너무 많으면 물이 증발됩니다.
[토]
- 성질 : 토는 황색으로 환절기와 같이 중앙을 의미하며, 전환기를 나타냅니다.
- 과소 : 흙이 없으면 쇠나 열매를 얻을 수 없습니다.
- 과다 : 흙이 너무 많으면 물이 흐르지 못합니다.
- 토다매금(土多埋金) : 흙이 너무 많으면 쇠가 묻힙니다.
- 토다목척(土多木斥) : 흙이 너무 많으면 마무가 꺽여 집니다.
[금]
- 금은 흰색으로 가을과 서쪽을 나타내며, 열매와 결실 또는 결단력을 나타냅니다.
- 과소 : 쇠가 없으면 물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 과다 : 쇠가 너무 많으면 나무가 살아나지 못합니다.
- 금다수탁(金多水濁) : 쇠가 너무 많으면 물이 탁해집니다.
- 금다화식(金多火熄) : 쇠가 너무 많으면 불이 꺼져 버립니다.
[수]
- 성질 : 수는 검은 색으로 북쪽과 겨울을 나타내며 생명의 원천인 물을 나타내며, 휴식이나 유연성 또는 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과소 : 물이 없으면 나무가 생명을 잃게 됩니다.
- 과다 : 물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뿌리를 박지 못하고 물위에 뜨게 됩니다.
- 수다목표(水多木漂) : 물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뜹니다.
- 수다토류(水多土流) : 물이 너무 많으면 흙이 떠내려 갑니다.
'사주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가 되는 사주 - 식신생재격 사주 (0) | 2017.01.03 |
---|---|
사주 육친(십신)의 생극제화와 그 작용 (0) | 2017.01.02 |
손 없는 날 달력 - 손없는날달력 (0) | 2016.12.28 |
배우자와 해로하기 힘든 사주 -시상(시간) 상관 비견급 사주 (0) | 2016.12.14 |
사주에서 오행의 고립과 사주 당사자의 건강과 질병 (0) |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