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육친운(3)-자식키운 보람이 있는 사주팔자

 
 
 자식도리를 다하려면 
1).시주 또는 일지의 식상이 충극없이 온전해야 합니다.
 
2).시주 식상을 기준으로 인성과 식상이 온전하면 자식이 도리를 다한다고 봅니다.
 
3).다만 모친의 명조에서는 자식이 도리를 다하는 경우라도, 자식 본인의 팔자에 따라 전혀 다른 생각과 행동을 할 수도 있으므로, 자식 본인의 명을 우선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자식을 향하는 모친의 사주팔자 예시
위 명조는 해월의 을목일간의 여명사주입니다. 인성 신강사주라 관성의 역할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하고, 남편에 해당하는 경금이 원국에 존제하지 않아 남편덕은 다소 부족한 명입니다. 초겨울의 신강한 을목이라 조후상은 물론, 억부상으로도 식상인 화오행이 용신인 명조입니다. 
 
관성인 경금에 의지하지 못하는 명조라 오직 시간상의 화오행을 향할 수 밖에 없는 명조라 자식에 대한 마음이 지극하다 할 것입니다. 그 자식도 어머니인 을목과 같은 천간에 위치해 시지 술토를 향하고 있는 명이라, 을목 모친과 병화 자식은 모자간에 정이 남다르다고 봅니다.
 
 일지와 시간 식상의 해석
참고로, 위 명조는 을목 여성의 입장에서 자식인 상관이, 시지에 위치한 경우와 시간에 위치한 경우,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알아 보기로 합니다.
 
시간의 식상인 병화는 자식이지만, 천간에 나란히 위치한 경우라 뜻이 통하고, 동등한 위치에서 안정과 명예를 소중히 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봅니다.
 
일지의 시상인 사화도 같은 자식입니다. 모친과 한 몸이 된 경우라 자식과 인연이 대단하지만, 모친이 하늘 자식이 땅에 있는 경우입니다. 지지에 위치한 자식인 사화는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삶에 치중하는 명이라고 봅니다.
 
  
 시간 식상의 다른 해석
위 명조는 경금 여성의 명조입니다. 월간의 정관 정화는 경금 여성의 남편에 해당하고, 시지 자수는 상관으로 자식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시간에 겁재가 위치한 경우입니다. 자식과의 인연은 직접 생조하는 관계라야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다소 해석을 다르게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똑같은 명조를 남편인 월간 정화의 입장에서 재구성해 봅니다. 월간 정화 남편의 입장에서 정재인 일간 경금은 아내이고, 시간의 편재 신금 역시 정화 남편의 또 다른 여자일 수 있습니다. 편재인 신금 여자와 동주한 편관 자수는 신금 여성의 자식으로 경금 여성의 친자는 아닐 수 있습니다.
 
 명조의 구성 연습
위와 같이 명조를 구성해 보시려면, [플러스학습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