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궁합 - 범띠 닭띠 띠별 궁합 띠궁합 - 범띠 닭띠 띠별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남자 : 닭띠 여자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여자 : 닭띠 남자 궁합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궁합이 띠궁합입니다. 띠 궁합은 년지로 보는 겉궁합의 하나입니다. 사주를 따지기 힘든 일반인들이 가장 알기 쉽고 명쾌한 답안을 찾을 수 있어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 그런지도 모릅니다. 아뭏던 잘 맞는다. 안 맞는다 라는 문제를 떠나 그래도 모든 사람들이 관심이 많이 가는 궁합의 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사주에서 자신을 지칭하여 가장 중요하다는 일간은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지만 태어난 해에 대한 자신의 띠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렇듯이 띠를 필수적으로 기억하는 이면에는 은연중에 궁합이라는 심리가 내재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 .. 궁합 2017. 5. 15. 11:27
띠궁합 - 범띠 원숭이띠 띠별 궁합 띠궁합 - 범띠 원숭이띠 띠별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남자 : 원숭이띠 여자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여자 : 원숭이띠 남자 궁합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궁합이 띠궁합입니다. 띠 궁합은 년지로 보는 겉궁합의 하나입니다. 사주를 따지기 힘든 일반인들이 가장 알기 쉽고 명쾌한 답안을 찾을 수 있어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 그런지도 모릅니다. 아뭏던 잘 맞는다. 안 맞는다 라는 문제를 떠나 그래도 모든 사람들이 관심이 많이 가는 궁합의 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사주에서 자신을 지칭하여 가장 중요하다는 일간은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지만 태어난 해에 대한 자신의 띠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렇듯이 띠를 필수적으로 기억하는 이면에는 은연중에 궁합이라는 심리가 내재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 궁합 2017. 5. 14. 18:19
사주원국의 십신에 따른 육친의 대입과 육친조견표 사주원국의 십신에 따른 육친의 대입과 육친조견표 사주원국을 해석하려면 원국에 기본적으로 육친을 대입할 수 있어야 합니다.그 중에서도 재일 중요한 것이 재성과 관성이 됩니다. 재성은 재물인 동시에 남명에게는 아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관성은 직장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규율이나 도덕관념을 나타내기도 하고 여명에서는 가장 중요한 남편을 표시하기도 합니다. [육친찾기 예시] 위 명조를 살펴봅니다.우선 해월에 태어난 갑목은 월지를 얻기는 했지만 다른 득지나 세력을 전혀 얻지 못해 신약한 사주가 됩니다. [아내의 星과 부친星]우리는 여기서 갑목 일간의 아내를 찾아보기로 합니다.아내가 되는 육친이면 1차로 정재가 되고 정재가 없으면 편재도 아내가 된다고 했습니다.그렇다면 위 명조에서 아내는 일간 갑목과 합을 합는 월간 .. 사주 명리학 2017. 5. 14. 18:12
사주명리의 夫星入墓(부성입묘) 사주명리의 夫星入墓(부성입묘) [부성입묘란]사주에서 남편인 관성이 무덤으로 들어가는 격이라 묘에 묻혀 제 역할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이 경우는 여명에서 지지의 토오행 속에 관성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부성입묘는 관성입묘로 불리기도 합니다. [부성입묘와 동주묘의 차이]묘지나 고지는 이전 계절의 기운을 갈무리하는 토의 기운입니다.만약 일간이 갑이나 을이라면 관성은 금기운인 경금이나 신금에 해당합니다. 금기운은 가을의 기운이므로 고지(묘지)는 다음 계절인 겨울(해자축)의 토 기운인 丑(축)이 됩니다.참고로 부성입묘는 12운성의 동주묘를 말하는 것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즉 음양을 구분하지 않고 묘고로 사용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각 계절의 창고(묘고)] .木(목)의 墓(묘)는 未(미) 목.. 사주 명리학 2017. 5. 13. 18:26
사주명리의 도식(倒食) [도식이란] 사주명리의 도식(倒食) [도식이란]도식이란 한자대로 풀이하자면 밥그릇 엎기입니다.우리말에 [죽수어 개준다] 또는 [도로아미타불]이나 [말짱도루묵] 과 같은 용어라 보시면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식신이 먹을 복이니, 밥줄이 끊긴 경우가 됩니다. 식신이 길신일때 그 길신인 식신을 편인이 극하는 경우를 도식이라 합니다.그럴경우 편인의 활동을 제어할 수 잇는 것이 재성인데 재성조차 없다면 피해는 좀 심각해진다고 봅니다. [도식사주 예시] 위 명조는 인성이 강한 신강 사주입니다. 용신은 일간의 기운을 설하는 목이되고, 희신은 목을 생조하는 화가 됩니다. 그런데 용신인 목이 묘유충으로 도식된 사주이지요.묘유충은 사로 충하는 것이 아니라 강한 인성 그것도 편인인 유금에 묘가 일방적으로 당하는 경우입니다. 이렇듯이 편인.. 사주 명리학 2017. 5. 13. 12:41
띠궁합 - 범띠 양띠 띠별 궁합 띠궁합 - 범띠 양띠 띠별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남자 : 양띠 여자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여자 : 양띠 남자 궁합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궁합이 띠궁합입니다. 띠 궁합은 년지로 보는 겉궁합의 하나입니다. 사주를 따지기 힘든 일반인들이 가장 알기 쉽고 명쾌한 답안을 찾을 수 있어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 그런지도 모릅니다. 아뭏던 잘 맞는다. 안 맞는다 라는 문제를 떠나 그래도 모든 사람들이 관심이 많이 가는 궁합의 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사주에서 자신을 지칭하여 가장 중요하다는 일간은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지만 태어난 해에 대한 자신의 띠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렇듯이 띠를 필수적으로 기억하는 이면에는 은연중에 궁합이라는 심리가 내재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 .. 궁합 2017. 5. 13. 01:26
사주 명리학의 간지유정과 군비쟁재 사주 명리학의 간지유정과 군비쟁재 [간지유정].일간과 일지가 합이나 상생할 경우를 간지 유정이라 합니다..일주가 간지 유정인 경우는 정이 많다고 봅니다. .위에서 일간이나 일지가 서로 상생하는 경우는 쉽게 이해가 갈 것으로 봅니다. 만약 갑자일주라면 일지 자수가 일간 갑목을 수생목으로 생하는 관계가 됩니다. .일간과 일지가 합이 된다는 것은 일간과 일지 지장간 간에 암합이 있는 경우를 말하는 것입니다.위 명조는 일간 갑과 일지장간 자의 지장간 계와 무계암합을 하는 과정입니다. [군비쟁재]사주원국에 식상이 없는 상태에서 비겁이 재성을 극하는 경우를 말합니다.한자대로 해석을 한다면 비견겁재가 무리지어 재성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투쟁하는 것을 말합니다. 식상이 없는 상태에서 일간이 재성을 극하게 되면 재물복에.. 사주 명리학 2017. 5. 13. 00:59
암합 - 간지암합과 지지암합 암합 - 간지암합과 지지암합 [암합이란]천간이나 지지가 합을 하는 것이 아닌 지장간끼리 합을 하거나 지장간과 합을 하는 것을 암합이라 합니다.암합은 밝으로 표출되지 않으므로 사람의 마음속에 감추어진 내심으로 봅니다. [간지 암합]사주 원국에 있는 간지 간의 합은 명합이라 부르는데 반해 지장간의 합은 잘 들어나 있지 않다 해서 암합이라 합니다. 그 중에서 천간과 지지의 암합은 들어난 천간과 들어나지 않은 지지 사이의 암합이라 명암합이라고도 합니다. 사주원국의 천간과 동주한 지지의 지장간 사이의 합을 간지 암합이라 합니다.천간과 지지의 정기가 합을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사주의 천간과 동주 지지의 정기가 암합하는 경우는 3가지 암합에 4가지 주가 존재합니다.[정임암합] 정화와 임수의 암합 - 丁亥:정해, 壬.. 사주 명리학 2017. 5. 12. 08:23
합과 충의 해석과 통변 합과 충의 해석과 통변 [합과 충의 기본 요건] 1.합과 충은 나란히 붙어 있어야 성립합니다. 2.일간은 사주체 자신을 의미하므로 일간의 충극이 가장 흉의가 크다고 봅니다. 3.용신의 충극도 일간에게 도움을 줄수 잇는 상황이 못되 위험합니다. 4.충극이 있을 때 그 충을 완화시켜줄 통관 오행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합과 충의 해석] .궁에 의해 충 또는 합하는 궁을 확인 합니다. 충극이 발생한 경우 충하는 궁과 충을 받는 궁을 살핍니다. .충을 하거나 받는 오행의 십신을 확인 합니다. .해당 십신의 육친을 확인하여 영향을 분석합니다. [천간의 합과 충] 1.년간과 월간 .년간과 월간이 합이되면 조부와 부친이 뜻이 잘 맞아 사이가 좋습니다. .따라서 유복한 유년기가 된다고 봅니다. .반대로 충이 된다면 부.. 사주 명리학 2017. 5. 10. 21:59
지지충(地支沖) - 생지충, 왕지충, 고지충 지지충(地支沖) - 생지충, 왕지충, 고지충 [지지충이란].지지충은 지충 또는 육충이라고도 불립니다..천간충이 정신적인 불안정이나 스트레스를 말하는 데 반하여 지지충은 실제적인 불안정을 나타냅니다. .환경적인 불안정, 부모 형제와의 불화로 인한 성장환경의 불안정, 인덕의 부족 등 실제 상황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에는 부부간의 애뜻한 정이 모자란다거나 주거의 불안정 등도 포함됩니다. [지지충의 종류].생지충 - 양의 기운과 양의 기운간의 충을 말합니다. .왕지충 - 음의 기운과 음의 기운간의 충돌을 의미합니다..묘지충 - 토의 기운 끼리 충돌하는 것을 말합니다. [생지충 : 生地沖].생지충 - 십이지지의 생지끼리의 충극을 말합니다. -.역마충 .역마살이라고도 합니다. .거주지의 이동이나 직업의 변동이 심하고.. 사주 명리학 2017. 5. 10. 08:51
육친(六親)의 개념과 육친 조견표 육친(六親)의 개념과 육친 조견표 [육친의 개념]육친(肉親)은 부,모,형,제,자,녀 등 혈족관계를 말하며 여기에 배우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비견 .겁재] - 형제, 자매, 시아버지 [식신.상관] - 여명은 자식, 남명은 장모 [편재.정재] - 아내.부친.시어머니 [편관.정관] - 남편, 며느리 [편인, 정인] - 모친, 장인, 사위 등을 나타닙니다. [육친 조견표] 사주 명리학 2017. 5. 10. 00:25
띠궁합 - 범띠 말띠 띠별 궁합 띠궁합 - 범띠 말띠 띠별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남자 : 말띠 여자 궁합 띠별 궁합 - 범띠 여자 : 말띠 남자 궁합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궁합이 띠궁합입니다. 띠 궁합은 년지로 보는 겉궁합의 하나입니다. 사주를 따지기 힘든 일반인들이 가장 알기 쉽고 명쾌한 답안을 찾을 수 있어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 그런지도 모릅니다. 아뭏던 잘 맞는다. 안 맞는다 라는 문제를 떠나 그래도 모든 사람들이 관심이 많이 가는 궁합의 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사주에서 자신을 지칭하여 가장 중요하다는 일간은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지만 태어난 해에 대한 자신의 띠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렇듯이 띠를 필수적으로 기억하는 이면에는 은연중에 궁합이라는 심리가 내재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 .. 궁합 2017. 5. 9.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