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명법-성씨에 따른 음령오행과 배치에 따른 길흉
작명법-성씨에 따른 음령오행과 배치에 따른 길흉 [성씨에 따른 음령오행] 음령오행은 한글의 발음을 기준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각 글자는 주음과 종음으로 이루어지며, 모음은 따지지 않습니다. 성명학에서는 주음으로 상생관걔를 따지며, 주음간에 충극을 이루어 불가피한 경우, 통관시켜주는 용도 정도로 사용됩니다. 예컨데, [김동수]라는 사람의 이름을 음령오행으로 따져보면 주음 간에는 목(김) - 화(동) - 금(수)로 이름의 첫자와 끝자는 주음간에 화극금으로 극관게가 됩니다. 이 경우 [동]자를 주음과 종음으로 분리하면 화-토가 되므로 부더럽게 통관이 되어 목 - 화 - 토 -금으로 연결이 됩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주음간의 상생관계를 우선으로 따지게 되고, 종음을 이용한 통관의 경우는 다소 격이 떨어지는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