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성론(4) - 식신의 긍정적, 부정적 의미
1.식신 食神 식신은 열심히 일한 결과로 따르는 재물적 풍요와 식복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일하지 않으면 생활이 궁핍해지고 먹을 것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식신이 필요한 명조에서 식신이 없으면, 활동력이 떨어져 직업활동에 장해가 생기고, 정상적인 일의 댓가가 따르지 못하게 됩니다.
2.식신의 의미 1).육친적 의미 식신은 일간이 생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육친적으로는 여명의 경우 자식을 칭합니다.
2).사회적 의미 식신은 일간이 보살피고 도와주어야 하는 대상으로, 아랫사람이나 부하, 후배 등을 말합니다.
3).식상과 관성 직업적인 면에서 식상은 자영업에 더 관심이 크게 되고, 관성은 직장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됩니다. 다만, 여명의 경우 식상은 자식, 관성은 남편을 칭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여자의 입장에서 남편과 자식을 동격으로 보는 것이 아닐까도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는 여필삼종지도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어려서는 부친을 , 결혼후에는 남편을, 나이가 들어서는 자식을 따르라는 말입니다. 이 부분이 명리학에 녹아 들어 식상과 관성이 여자에게 자식과 남편을 칭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3.식신의 긍정적 의미 식신은 한 분야를 깊이 연구하는 타입으로 전문가의 경지에 오르는 경우가 됩니다. 식신은 일간이 생조하는 경우라 도와주거나 이해하고 배려하는 의미가 함축됩니다. 식신은 다소 정적이고 지적이며, 논리적 표현에 재능을 나타냅니다.
식신은 진취적이며 미래지향적 성향으로, 동적인 분야보다는 다소 정적이고 지적인 직업활동을 선호합니다. 식신은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고 타인을 이해 배려하는 마음이 강합니다.
예시명조 1
예시명조 2
위 두명조는 공히 정화일간이 일지에 식신을 깔고 있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두 경우는 전혀 다른 성향을 나타내게 됩니다. 첫번째 예시의 경우 일지 미토의 지장간이 정화, 을목, 기토로 이루어 집니다. 겉보기에는 음토라 차분하고 지적인 타입으로 보이나, 속에는 불기운을 담고 있어, 때로는 즉흥적이고 폭발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두번째 예시는 같은 식신이지만, 축토의 지장간이 계수,신금,기토가 있습니다. 얼어 붙은 땅이라 침착하고 논리적 성향을 나타내게 됩니다. 당연히 두번째의 예시가 전형적인 식신의 성향을 나타낸다고 볼 것입니다.
예시명조 3 위 명조는 해월에 태어난 을목일간의 신강한 여명사주입니다. 월간의 신금은 편관으로 을신충이 성립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월간의 신금은 앉은자리 해수를 먼저 생조하므로 인해, 을신충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성장기에는 정해진 법도와 규율을 잘지키고 학업에 충실한 경우입니다.
아울러, 결혼후에는 을목 여성의 남편으로 열심히 일해 아내인 을목의 생계를 책임지는 착실한 남편이 됩니다. 부부사이는 일간과 남편 신금이 서로 향하고 있어 인연이 깊고, 남편인 신금이 을목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경우라, 남편덕도 있는 명조입니다.
물론, 남편 신금과 일간 을목은 음양의 조화를 이루지 못해 부부간에 다정 다감한 면은 부족한 사이가 됩니다. 을목 여성은 일지에 비견을 두고 있어 주관이 강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는 최선을 다하는 명조입니다.
아울러 자식궁인 시간의 식신 정화를 향하는 경우라 자식에 대한 열정과 바램도 대단한 명조가 됩니다. 논리적이고 침착하지만, 자식에 대한 열정이 너무 깊어 치맛바람을 날리는 주부일 수도 있습니다.
4.식신의 부정적 의미 식신이 부정적인 면모를 들어내면 유연성과 융통성이 부족해, 자기 주장이 강하게 표출됩니다. 당연히 부부간에 불화와 갈등의 골이 깊어질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식신이 과다해 흉작용을 하게 되면 원칙과 소신이 불분명하고, 매사 시작은 잘하지만 끝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잦아 생활고에 시달리게 됩니다.
식신과 상관이 혼잡한 경우는 한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해 직업의 이동, 변동이 잦고, 가정이나 직장에 안주하기 힘들어 집니다.
식신이 과다해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면 제도와 규율을 무시하고, 자유분방한 생활로 대인관계나 직업관계, 기타 생활면에서 문란한 경우가 많아 구설이 따르게 됩니다.
식신과 상관이 혼잡하면 직장이나 가정 등 일정한 틀에 묶이는 것을 싫어하여, 주색을 즐기고 배우자와 인연, 정, 덕이 없는 사람이 됩니다.
예시명조 4 위 명조는 기토일간이 식신인 유금과 신금에 포위당한 경우입니다. 흙이 쇠를 품어야 정상이지만, 쇠가 너무 많아 흙이 도리어 쇠에 묻혀버린 경우가 됩니다. 이 경우는 강한 쇠의 기운에 관성인 목오행이 제거된 경우로 봅니다.
관성은 일간을 통제하고 간섭하는 기운인데 제거된 경우이니, 일간은 원칙과 소신이 불분명하고, 도덕관념이나 규율 등에 관심이 없게 됩니다. 당연히 법과 원칙을 무시하는 행동을 하기 쉽다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