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궁의 이해 - 연주, 월주, 일주, 시주

category 사주 명리학 2020. 5. 18. 11:06

궁의 이해 - 연주, 월주, 일주, 시주


1.궁宮과 성星
사주팔자는 연주, 월주, 일주, 시주의 4개의 기둥으로 나뉘어져 4주가 되고, 각각의 기둥은 천간과 지지로 이루어져, 4개의 기둥, 8개 글자인 사주팔자가 됩니다.

궁이란 각 기둥의 위치에 따라 배정된 육신의 역할을 의미합니다. 연주는 조상궁, 월주는 부모 형제궁, 일주는 자신과 배우자궁, 시주는 자식궁으로 분류합니다. 아울러, 시기적으로 연주는 유년기, 월주는 청년기, 일주는 장년기, 시주는 노년기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성이란 일간과 각 오행의 생극제화를 육친관계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십성 또는 십신이라고도 합니다. 십성에는 비겁으로 불리는 비견과 겁재, 식상인 식신과 상관, 재성인 편재와 정재, 관성인 편관과 정관, 인성인 편인과 정인을 말합니다.

2.연주 - 조상궁으로 일간의 근본
연주는 일간의 근본을 나타내고, 육친적으로는 조상궁으로 조부와 조모를 말합니다. 
사회적으로 국가나 단체를 나타내고, 시기적으로는 일간의 유년기가 됩니다.

3.월주 - 부모궁으로 일간의 성장기
월주는 일간의 부모궁으로 부모와의 인연과 정, 덕관계를 판단하는 궁위이고, 부모의 영향력이나 성향 등을 알아보는 곳이기도 합니다. 시기적으로는 일간의 성장기로, 학업이나 기술의 습득 시기가 됩니다. 월주에서 일간의 전공이나 학업의 성취도, 진학관계 등을 판단합니다.

또한, 월주는 일간의 태어난 환경으로 계절적 요소가 중시되고, 육친에 따른 일간의 성격이나 가치관 등을 판단하기도 합니다.

봄철인 묘월에 태어난 갑목일간은 싹을 틔워 잘 자라,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야 본연의 역할을 다하게 됩니다. 갑목일간은 자신의 표출할 수 있는 식상과 재성을 향하게 됩니다. 따라서 위 갑목일간의 여성은 가정 보다는 직업활동이나 사회활동에 좀 더 많은 관심이 가게 됩니다.


가을은 추수의 계절입니다. 가을의 나무는 수확되어 적절한 용도로 쓰여져야 합니다. 가을의 갑목은 이미 수명을 다한 나무라 힘이 부족합니다.그러한 갑목이 일지와 시간에 식상과 재성을 두게 되면, 자신의 본분도 잊은 채 식상과 재성을 향하게 됩니다. 

당연히 월주의 정관 신금과 마찰과 갈등이 심하게 됩니다. 정관 신금은 앉은자리 통근을 하여 힘이 강합니다. 신금 남편의 입장에서 아내인 갑목여성이 능력도 부족하면서 사회활동으로 재물을 추구하게 되니, 부부간에 불화와 갈등이 생길 수 있는 명조가 됩니다.

ㅇ이런 명조에서 행운에서 상관인 정화가 추가로 오게 되면 부부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게 됩니다. 남편인 신금입장에서 정화는 편관이라 부부간의 갈등은 물론이고, 남편의 신상에 이상이 올 수 도 있게 됩니다.


4.일주 - 명주자신과 배우자궁으로 일간의 현재
일간은 명주 자신을 나타내는 곳으로 일간의 오행에 따른 기본 성정을 판단하고, 주변환경에 따른 변활를 살핍니다. 또한, 일지는 일간의 배우자궁으로 배우자와의 인연과 정, 덕관계를 판단하게 됩니다.

또한, 일지는 일간의 생활공간이자 활동공간입니다. 일지를 통해 일간의 행동과 생활태도, 가치관등을 판단합니다. 아울러, 일지와 일지의 지장간을 통해 배우자의 내심과 가치관을 판단하기도 합니다.

위 명조는 갑목일간이 일지에 상관인 오화를 둔 경우입니다. 일지는 배우자궁이기도 하지만, 일간의 행동과 생활태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일지 오화는 미토와 육합을 하게 됩니다. 미토는 갑목 여성의 입장에서 재성이라, 일간 갑목은 일과 재물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고 봅니다.


5.시주 - 자식과의 관게와 일간의 노년기
시주는 일간의 미래로 노년기의 직업과 재물, 건강상태를 살피는 자리입니다.
아울러 자식궁으로 일간과 자식간의 인연과 정, 덕관계를 판단하는 궁위이기도 합니다. 또한, 일간의 주변사람들인 후배나 부하직원 등 아랬사람들과의 관게를 판단하기도 합니다.

만약, 시간에 편관이나 편인이 강하게 자리하면, 일간은 사고가 편협하기 쉽고, 노년기에 일찍 직업전선에서 물러나기 쉽습니다. 또한, 편인과 편간이 강하게 작용하면 일간 자시의 건강에도 시경을 쓰야 합니다.

일간 갑목이 시간에 편인인 임수가 오는 경우입니다. 편인은 식상을 극하게 되어 노년기에 생활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식상은 일간의 표현이자 일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일찍부터 일에 대한 의욕도 떨어지고, 직업활동에 지장을 받는 것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