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지지충의 종류 및 특성

category 사주 명리학 2023. 8. 13. 01:42

지지충의 종류 및 특성

 
 
 지지충(地支沖)이란?  
12지지 중에서 극하는 두 지지가 나란히 이웃하면서 충돌하여, 불안정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천간충이 정신적인 불안정이나 자존심 손상, 스트레스 등인 데 반해, 지지충은 실생활에서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정이나 직업의 불안정이나 이동, 변동이 따르기 쉽습니다. 
 
지지충은 지충이라고도 하고, 지지의 7번째 지지와 부딪히는 경우라 칠충으로도 불립니다.
 
 
 충의 종류  
▸생지충 : 역마충 
.인신충, 사해충이 해당하며, 각 계절을 시작하는 기운간의 충으로 역마충으로도 불립니다. 
생지충은 이동, 변동으로 분주하지만, 실속이 부족하기 쉽습니다.
 
▸왕지충 : 도화충 
.자오충, 묘유충이 해당하며 각 계절의 중심 기운간의 충입니다. 도화충으로도 불립니다.
왕지충은 자신을 드러내고 뽐내는 기운이 강해 이성간의 호기심이나 풍류나 유흥도 포함됩니다.
 
▸고지충 : 화개충 
.진술충, 축미충이 해당하며 각 계절을 마무리하는 기운간의 충으로 화개충, 지진충으로도 불립니다.
고지충은 땅일 흔들리는 경우라 가정이나 직업의 이동, 변동이 잦게 됩니다. 
 
 
 충의 성립조건 
서로 충하는 지지는 바로 옆에 위치해야 합니다.
충하는 두 지지 사이에 다른 오행이 위치하면 직접 충은 생기지 않습니다., 다만, 서로간에 사이는 좋지 않다고 봅니다.
충하는.두 지지 사이에 어느 지지가 더 강한지를 살펴야 하며, 약한 지지의 오행이나 십성은 손상이 심합니다.
 
해월의 기토일간은 불기운인 인성의 도움이 필요한 명조입니다. 따라서, 기토 남성이 결혼을 하게 되면 아내가 모친처럼 보살펴 주기를 바라는 명조입니다. 그런데, 월지 해수와 일지 사화가 사해충의 관계입니다. 월지 해수는 월간 계수의 동조를 받는 강한 힘으로 일지 사화를 충하는 경우입니다.
 
강한 물기운인 해수가 불을 꺼트리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일간 기토의 경우 부모덕이 부족하고, 아내와도 인연이 약한 명조로 판단합니다.
 
 
 궁위간의 충
▸연지와 월지가 충이면  
성장기에 환경이 불안정하여 학업에 전념하기 힘들고, 어린 나이에 고향을 떠나 객지를 전전하기도 합니다.
 
정화일간의 명조에서 연지와 월지가 인신충입니다. 어린 나이에 고향을 떠나거나 학업에 전념키 어려운 명조로 해석합니다. 그러나 연간에 임수가 위치한다면 연지 신금은 월지 인목을 충하기 보다는 연간임수 먼저 생조하게 되어 인신충은 거의 해소됩니다.
 
 
▸월지와 일지가 충이면  
가정이나 직업의 이동, 변동이 잦고, 주관성이 약해져 일관성을 가지기 힘듭니다.
 
해월의 정화여성의 명조이지만, 일지가 사화라 약한 일간에게 큰 힘이 되고,일간 정화의 일상적인 행동과 생활태도에 해당합니다. 월지 해수는 정관으로 남편에 해당하고, 금생수로 월지 해수를 생조하는 월간 신금는 해수의 모친으로, 정화 여성에게는 시모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육친이 주변에 위치한 가운데, 월지 해수와 일지 사화가 사해충을 이룹니다. 이 경우의 해석을 살펴봅니다. 시모는 남편과 동주하면서 항시 남편을 편들게 되고, 남편과 시모는 정화여성의 일상 생활에 대해 간섭하고 통제하는 상황으로 가정의 갈등이 상존하기 쉬운 명조입니다.
 
▸일지와 시지가 충이면  
부부간에 불화나 갈등이 따르기 쉽고, 자식과의 관계도 원만하지 못합니다.
 
▸월지에 따른 해석
자월에 태어난 무토라 얼어붙은 땅입니다. 나무를 키우기 위해서는 언땅을 녹여줄 불기운이 필요합니다. 육친적으로 살펴보면 월지 오화는 정재로 아내에 해당하고, 일지 자수는 정인으로 모친입니다. 모친과 아내가 갈등을 하는 명조입니다. 
 
무토 일간의 입장에서는 얼어붙은 땅이라 물보다는 언땅을 녹여줄 불기운이 필요합니다. 당연히 모친 편을 들게 되고, 남편인 일간 무토와 아내인 월지 자수는 함께 부부로서의 인연을 이어가기 힘든다고 봅니다.  
 
이 경우를 십성으로 해석을 한다면 월지 정재는 돈, 일지 정인은 의식주나 체면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국 돈으로 인해 의식주의 곤란을 받거나 체면손상 드으로 갈등하는 명조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유사하지만 상황이 바뀐 경우입니다. 오월의 무토는 메마른 사막이라 땅을 적셔줄 물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육친적으로 보면, 월지 오화는 정인으로 모친에 해당하고, 일지 자수는 정재로 아내로 고부간에 갈등이 심한 경우입니다.
 
일간 부토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메마른 땅이라, 불기운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나무가 자라도록 땅을 적셔줄 물인 자수가 필요합니다. 또한, 일간 무토와 일지 자수의 정기인 계수가 무계명암합을 하는 경우라 부부간에 인연도 있고 정도 있습니다.
 
이 경우. 모친은 모친궁에 위치하고, 아내는 아내의 자리인 일지에 위치합니다. 고부간에 갈등은 있지만 그 정도가 다소 약하고, 부부간에 관계도 원만한 사이라 남편인 무토일간과 아내인 일지 자수는 부부로서의 인연을 이어간다고 봅니다.  
 
 명조의 구성
▸플러스학습력 바로가기
위처럼 미완성 사주를 구성해 보시려면 플러스학습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손님으로 접속을 하셔도 명조 구성은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