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십성론(8) - 정재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정재란  
정재는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경우입니다.
사전적으로는 바른 재물이란 뜻으로 일간에게 이미 배정된 기본재물에 해당합니다. 
 
진정한 정재는 일간과 합이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좌측의 경우 일간 무토와 일지 자수는 무계 명암합의 관계이고, 일간 계수와는 무계합의 관계입니다. 이렇듯 일간과 합이 되는 정재는 운의 성패와 무관하게 부부간의 인연과 정이 깊은 사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측의 경우처럼 정재이지만 합이 되지 않는 경우는 음양이 조화되어 부부간에 정은 돈독하지만, 운의 흐름에 따라 인연이 쉽게 바뀔 수 있습니다. 예컨데, 운에서 정화가 오면 정재인 임수는 정임합으로 목기운으로 변하고, 일지 해수는 인해합으로 역시 목으로 바뀌어 아내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반응형

 

 재의 관점  
사회적관점 : 애인, 금융인, 경리, 월급, 이자소득, 임대소득
육친적관점 : 남)아내, 숙부, 고모, 처남, 처제, 올캐
심리적관점 : 검소성, 계획성, 논리적, 실리적, 구두쇠,
 
육친적으로는 부부간에 음양이 달라 부부간에 정이 있다고 보면, 아내는 성실 정직하게 가정을 이끌어나가는 현모양처 타입이라고 봅니다. 사회적으로는 아내 이외는 여자로, 음양이 달라 정이 있고, 헤어지기 쉽지 않은 관계를 말합니다. 
 
 
 재의 긍정적 의미  
정재는 일간에게 주어진 기본재물로써 월급이나 임대소득, 이자소득, 유산 등, 편재 이외의 모든 재물이 해당합니다. 자신의 처지와 능력에 맞는 직업활동을 통한 재물일 수 있습니다. 안정된 가운데 노력하여 큰 기복 없이 취득하는 고정된 재물입니다.
 
정재가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일간은 계획적, 계산적이며 안정지향적인 생활 태도를 견지하게 됩니다. 당연히 심리적으로나 가정적으로 여유도 있고, 발전적입니다. 정재가 일간에게 도움이 되는 기운으로 원국에서 안정되어 역할을 다하면 평생 재물복이 있는 명조로 봅니다.
 
또한 정재는 남편인 일간과 음양이 조화되어 정이 남다른 아내입니다. 정재가 본연의 역할을 다하는 명조는 처덕이 큰 사람으로 봅니다. 
 
잀간 임수가 일지오화와 정임 명암합을 하는 명조입니다. 이런 명조에서 월지 인목이 일지 정화를 목생화로 생조하면 식신생재로 재물복이 크다고 봅니다. 더구나 이렇게 생성된 재물은 일간과 명암합을 하게 되어 모든 재물을 손실없이 취하게 됩니다.
 
육친적으로는 일간 임수가 아내와 음양이 달라 부부간에 정이 남다르고, 아내가 남편을 하늘처럼 받들고 있는 모양입니다. 더구나 부부간에 동주하면서 명암합읋 하는 관계라 부부간에 인연도 대단합니다. 이런 명조의 일지를 월간에서 생하게 되면, 일간 임수는 처덕이 큰 사람으로 봅니다.
 
반응형
 
 재의 부정적 의미  
재성이 필요한 명조에서 정재가 없거나 너무 많은 경우는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 경우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부족하고, 지나치게 계산적인 생활 태도를 보이게 되어 구두쇠적인 삶이 되기 쉽고, 언행이 일치하지 않는 일도 잦습니다. 현실에 안주하려는 생각이 강해 나태하거나 비관하는 일도 생깁니다. 
 
정재가 너무 많으면 재다신약의 명조가 됩니다. 재다신약의 명조는 직업이나 건강은 물론, 재물이나 이성에 대한 문제로 가정이 불안하고, 여명의 경우 일부종사가 힘든다고 봅니다.
 
임수 일간에게 오화는 정재입니다. 원국에 정재가 너무 많으면 편재의 성향을 나타내어 안정감이 없고 체면손상, 명예실추가 따르고. 의식주 불안과 부부간에 불화와 갈등이 잦게 됩니다.
 
 
남명사주애서 정재는 부부간에 인연과 정, 덕이 있는 좋은 기운입니다. 그러나, 정재가 3개이상 너무 많아지면 편재의 성향을 드러내게 됩니다. 
 
임수가 일지에 정재인 오화를 두고 있습니다. 일간 임수와 오화의 지장간 중의 정기인 정화가 정임명암합을 하는 관계입니다. 남편인 일간과 아내인 오화는 음양의 조화를 이루면서 명암합을 이루는 관계라 부부간에 인연도 깊고 정도 대단한 사이입니다. 
 
그러나, 일간 임수의 극을 받는 일지 오화가 월간계수의 동조를 받은 월지 해수의 극도 벋는 경우가 됩니다. 이 경우는 군겁쟁재의 형태로 강한 수오행들에 둘러쌓여 오화는 꺼지기 직전입니다. 남편인 임수일간의 입장에서 보면 오화는 병약한 아내로 처덕이 없는 경우입니다.
 
이 명조에서 월지가 해수가 아닌 묘목이 오는 경우라면 목생화로 아내를 생조해 주게 되어 일지 오화는 본연의 역할을 다하게 됩니다. 결국 월지가 해수인 경우는 처덕이 부족한 명조이지만, 묘목이 위치한 경우는 오히려 처덕이 있는 명조로 바뀌게 됩니다..
 
 
 편재와 재의 차이점
편재는 적극적이며 솔직담백한 성격을 지니고, 정재는 안정과 계산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편재는 금전의 낭비 성향과 수출입이 안정되지 못한 반면, 정재는 계획적 경제로 안정위주의 삶을 살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