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용신취용법(2) - 신강사주의 억부용신 취용법

 억부(抑扶) 용신법  
일간의 힘이 강하면 눌러주고, 일간의 힘이 약하면 도와주는 오행을 용신으로 취하는 경우입니다. 억부용신법은 일간의 신강, 신약을 따져 용신을 취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간을 도우는 세력의 힘이 강하면 식상과 재성, 관성 중에서 용신을 취하고, 일간의 힘이 약하면 인성과 비겁에서 용신을 취합니다.
 
 일간이 신강하면
식신이나 상관을 용신으로 정해, 일간의 기운을 설기 시킵니다.
위 명조는 자월에에 태어난 갑목일간입니다. 일간 갑목의 세력은 인성인 월지 자수, 비견과 겁재에 해당하는 연간 을목, 일지와 시지의 인목이 해당합니다. 월지와 일지가 일간의 세력으로 득령, 득지한 가운데 추가적인 세력이 있으니 신강한 사주입니다.
 
신강한 사주의 용신은 식상, 재성, 관성입니다. 관성인 금오행은 원국에 존재하지 않고, 식신인 병화, 재성인 월간무토와 연지 미토 중에서 용신을 찾게 됩니다. 연지 미토는 일간과 거리가 멀어 용신으로는 영향이 미약해 제외하고, 재성인 월간 무토와 식신인 시간의 병화 중에서 용신을 선택합니다.
 
식상과 재성은 일간이 활동하는 공간이라 일지와 시간이 우선입니다. 따라서, 시간의 병화를 용신으로 정합니다. 다음으로 갑목일간의 명조에서 자월에 태어난 경우는 조후도 살펴봅니다. 자월은 한겨울이라 추위를 녹여줄 화오행이 필요해, 조후용신은 시간의 병화가 해당합니다.
 
이처럼 억부용신과 조후용신이 같은 경우를 진용신이라 하여 좋은 용신으로 봅니다. 참고로, 일간의 세력을 계산했을 때. 45점 초과 55점 미만인 경우는 중화사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범위내에 드시는 분들에게는 신강 신약이나 용신이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 경우에도 46점부터 49점대에 위치한 명조는 신약으로 분류되고, 50점부터 54점 까지는 신강으로 분류되어 용신, 희신, 기신이 표시되지만, 용신운이라도 크게 발복을 기대하기 힘들고, 기신운이라도 크게 흉하지 않는 평탄한 삶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에는, 조후용신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상단 명조의 아랫쪽에 위치한 격국용신 부분입니다.
1.비다 : 비겁이 강한 명조라는 표시입니다. (식다 : 식상과다, 재다 : 재성과다, 관다 : 관성과다, 인다 : 인성과다)
2.신강신약의 강도와 득령, 득지, 득세의 정도를 표시합니다.
3.용신과 희신을 나타냅니다.
4.용신이 억부이면 괄호 속은 조후용신을 표시하며, 기본 용신이 조후이면 괄호속은 억부용신을 표시합니다.
5.기본적인 기신과 구신을 나타냅니다.
6. 4번 항목과 같이 기본적인 기신,구신이 억부이면 조후로 찾아본 기신, 구신입니다.
7.괄호 속의 용신특성입니다. 여기서는 괄호속이 조후로 본 용신, 희신, 기신, 구신이라는 뜻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위 항목들은 플러스운세력에서만 표시될 수 있습니다.
 
 
재성인 편재나 정재로 용신을 정합니다.
신강한 사주에서 편재와 정재는 일간의 힘을 설기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위 명조는 미월의 기토일간으로 비겁이 과다한 신강사주입니다. 비겁의 강한 토기운을 설기할 식상이나 재성을 용신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식상으로는 일지 유금이 일간과 동주한 지지에서 직접 설기하는 오행이고, 시간의 임수 또한 동주한 시지 신금에 통근을 하여 힘이 강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식싱인 일지 유금을 용신으로 정했으나 시간의 임수를 용신으로 해도 무관합니다. 
 
관성인 편관이나 정관으로, 강한 일간의 기운을 설기 시켜도 좋은 용신이 됩니다.
비겁신강의 무토일간 남명사주입니다. 신강사주이니 인성인 화오행이나 비겁인 토오행은 용신 후보에서 제외되고, 식상, 재성, 관성이 용신 후보입니다. 식상 금오행은 원국에 존재하지 않고, 재성인 수오행과 관성인 목오행만 존재합니다.

반응형

 

재성인 연간의 임수는 앉은자리 통근을 하여 힘이 있으나, 일간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용신으로의 힘이 미약합니다. 그러나, 월간의 편관 갑목은 앉은자리가 봄의 기운인 진토이고, 연간의 임수로부터 생조를 받고 있어 힘있는 좋은 용신입니다.
 
 
용신 역할이 힘든 명조
위 명조는 미월에 태어난 을목일간의 남명사주입니다. 신강사주에 일주가 간여지동이라 주관이 강하고, 식상과 재성을 추구하는 마음이 강합니다. 용신 후보는 식상, 재성, 관성입니다. 관성인 신금과 유금은 연지와 시지에 위치해 용신 역할이 미약하고, 편재인 연간 기토도 일간과 거리가 멉니다.
 
따라서, 앉은자리 통근을 하여 힘있는 월간의 식상 병화가 용신이고, 그 용신을 옆에서 보필해주는 연간의 기토가 희신입니다. 이 경우 용신과 희신은 원국에 위치했지만, 용신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 힘든다고 봅니다.
 
연주는 일간이 태어난 근본이자 조상궁이라 연주에 재성이 위치하면, 일간이 편재의 성향으로 태어나고, 조상대에 사업을 하는 집안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월주는 부모, 형제궁이자 일간의 성장기입니다. 월지에 겁재가 위치해 재물은 많이 줄어 들었으나 부친궁이 상관이라 사업 등으로 의식주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볼 것입니다.
 
성장 후에나 노년기에는 강한 비겁으로 인해 재성이 극파되어, 의식주의 곤란을 받을 수 있는 명조입니다. 이런 명조의 경우 초년에는 다소 부유한 집안 출신일 수 있으나, 성장 후에는 오히려 힘든 삶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명조의 경우도 원국과 무관하게 운에서 식상과 재성이 오면 발복할 수는 있습니다.
 
인터넷 등에서 해설하시는 분들 중에는 십성의 위치에 상관없이 식상과 재성이 있으면, 식상생재 사주로 부자사주로 부는 분들도 있으나, 실제 그런 분들이 발복하고 있는 지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 월주의 식상생재는 부모의 유산을 물려받는 경우는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