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매화역수 - 오행의 상생과 상극

category 사주 명리학 2021. 8. 23. 02:21

 

매화역수 - 오행의 상생과 상극

 

1.오행이란?

오행은 목, 화, 토, 금, 수의 5가지로, 사주명리학의 기본적인 기운을 말합니다. 오행의 5가지 기운은 다시 음과 양으로 나누게 되어 10가지로 세분하며, 그 기운은 다시 하늘의 기운인 천간과 땅의 기운인 지지로 나뉘어집니다.

 

지지는 12자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운동을 하게 되고, 각 계절마다 환절기가 존재합니다. 각 오행간에는 서로간에 도움을 주거나 억제하는 기운이 작용하게 되어 상생과 상극으로 나타납니다.  

 

[오행별 천간과 지지]

각 오행에 따른 천간과 지지 그리고, 해당 지지의 지장간을 도표화한 것입니다. 

 

1).목오행  

천간의 갑목과 을목, 지지로는 인목과 묘목이 있습니다. 아울러 목오행은 계절로는 봄, 방위로는 동쪽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2).화오행

천간의 병화와 정화, 지지로는 사화와 오화가 있으며, 계절로는 여름, 방위로는 남쪽을 나타냅니다. 

 

3)토오행

천간에는 무토와 기토, 지지로는 진, 술, 축, 미토가 있습니다. 토오행은 계절적으로 환절기를 의미하고, 방위로는 중앙을 나타냅니다.

 

4).금오행

천간의 경금과 신금, 지지로는 신금과 유금이 있습니다. 계절적으로는 가을을 의미하며, 방위로는 서쪽을 나타냅니다  

 

5).수오행

천간의 임수와 계수, 지지로는 해수와 자수를 나타내며, 계절로는 겨울, 방위로는 북쪽을 의미합니다. 

 

 

 

2.오행의 사주적 특성

오행은 위 도표에서 각 오행에 따른 천간과 지지를 알아 두셔야 하고, 계절적의미나 방위도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사주풀이를 할 때에도 이러한 특성들을 그대로 적용하게 됩니다.  예컨데, 봄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봄에 초목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린 새싹이니 다소 순수하고 낭만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아직은 세상 풍파에 많이 시달리지 않은 시기라, 이것 저것 쉽게 손대는 경향도 있어 시작은 잘하지만, 끝마무리가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깊은 동면에서 깨어난 새싹이라 자신이 언제나 최고라고 여기게 되어 우두머리 기질도 나타납니다.

 

만약, 여름태생이면, 가장 밝은 시기이기도 하고 꽃을 피우는 시기라. 화려함과 낭만을 추구할 수도 있습니다. 화려함을 추구하는 시기다보니 도화의 기운도 많이 잇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가을 태생이면 수확을 앞둔 시기라 빨리 열매를 맺고, 저장할 준비를 해야 할 때 입니다. 또한, 가을이면 1년생 화초는 죽게되고, 강한 나무만 살아 남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결단력있는 행동을 하게 되고, 떄에따라서는 냉정한 면모도 많이 나타납니다.

 

겨울태생이면 봄부터 여름과 가을을 거쳐온 시기입니다. 인생의 모든 역경을 지나온 터라 지혜가 넘치는 시기입니다. 아울러 물상적으로는 수의 기운입니다. 물은 한곳에 머무러면 썪게 마련이라 방랑벽도 있을수 있고, 바람기도 많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오행의 계절적의미나 물상적인 의미를 생각하면서 공부하시면 좀 더 재미있고 쉬울 것으로 봅니다.

 

 

3.오행의 상생

오행은 서로간에 상생의 원리로 순환하고 있습니다. 목은 불을 생하고, 불은 흙을 만들고, 흙은 쇠를 만들며, 쇠는 물을 생하고 물은 나무를 자라게 합니다.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의 순환관계를 잘 알아 두셔야 합니다.   

 

여기서 생하는 쪽은 모친이 되고, 생조를 받는 쪽은 자식이 됩니다. 예컨데 나무가 불을 생조하는 목생화의 기운이라면 나무는 불을 살리는 원천이 되므로 모친이 되고, 불은 나무의 생조를 받는 것이니 자식이 됩니다. 명리에서는 모친의 역할에 해당하는 것을 인성, 자식에 해당하는 것을 식상이라 합니다. 

 

 

4.오행의 상극

오행은 서로간에 도우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기운을 억제하는 역할도 합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따뜻한 불이 필요하지만, 온통 불로만 이루어지면 아무것도 남아나지 않습니다.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가 그러하듯이 명리학에서도 서로간에 도우고 억제하는 기능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좋은 삶이 됩니다.

 

목극토 : 나무는 흙을 뚫고나와 자라게 되고, 흑은 나무에 영양을 빼앗기게 되어 황폐해지는 것을 목극토로 봅니다.

 

토극수 :흙은 물길을 막아 함부로 범람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수극화 : 물이 불을 끄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화극금 : 불은 쇠를 녹여 없애거나 변형시킵니다.

 

금극목 : 쇠는 나무를 잘라 다른 것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이처럼

특정 대상을 극하는 경우, 사주에서는 재성으로 봅니다. 재성은 부인이나 재물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자신을 극하는 것을 관성이라고 합니다. 금극목의 기운에서 보면 나무를 극하는 쇠는 나무의 입장에서는 관성이 되고, 쇠의 입장에서 나무는 재성이 된다는 것입니다.

 

위 그림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을 도표화 한 것입니다. 이 부분은 명리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이니 정확히 이해 하셔야 합니다.